일곱 성인의 소환
덱 리스트
덱 코드
FhHB0W8MERCBwXUMFyBRwngTF6GAWoMYCIAw/oUPCOFQAYYQCBFhA0cQCjEw06MdHTAA
개요
- 덱 난이도: 쉬움
- 등장 버전: 5.3
- 기준 버전: 5.5
- 덱 성격: 벽덱 / 개화 / 카드포기
특징
- 행동카드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카베의 폭발 스캔으로 카드를 포기하여 개화 발사로 데미지를 넣는 덱
- 카베의 궁극기 사용 후 푸리나의 물부착 2회 소환수와 연계하여 한번에 2회의 개화 발사가 가능함
※ 덱 공략은 망창새님이 써주셨습니다. 감사합니다.
캐릭터별 역할
푸리나
- 2턴동안 지속되고, 총 4회의 물부착을 하는 소환수를 소환하여 카베의 개화반응을 도와주는 역할
- 특성카드 사용시, 평타에 물 원소가 인챈트되어 '낙하베기' 카드로 기습적인 개화반응이 가능함
카베
- 원소전투 스킬과 궁극기를 사용하면 얻는 폭발 스캔으로 개화 씨앗을 상대에게 발사하는 메인 딜러의 역할
- 카베가 죽어도 폭발 스캔은 아군 캐릭터 진영에 계속 유지되기에 카베는 죽더라도 무조건 궁극기를 사용하고 죽어야 함
야란
- 원소전투 스킬의 데미지가 3이고 타파 스택이 있을 시 평타에 물 원소가 인챈트되어 3선으로 출전해 마지막에 카베의 폭발 스캔을 전부 소모하는 피니셔 역할
- '낙하 베기' 카드로 기습적인 개화 반응이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
기본적인 운영법
멀리건
1순위: 푸리나의 특성카드, 카베의 특성카드, 바람 드래곤의 폐허, 3장의 비기카드 (판결, 투쟁, 오로바스)
2순위: 낙하베기, 바네사 전기
※ 비기카드는 무조건 멀리건으로 전부 다 들고가셔야합니다. 집어넣으면 큰일납니다.
1턴
- 푸리나의 E 스킬 사용 후 카베로 이동하여 카베의 E 스킬을 사용한 후 종료해주세요.
- 푸리나 E (3) + 이동 (1) + 카베 E (3) 총 7코스트로 1코스트가 남기에 상대가 카베의 E 스킬을 맞고 드리블을 칠 상황도 생각하여 푸리나 -> 야란 -> 카베로 똑같이 드리블을 할 수 있습니다.
- 멀리건으로 총 3장의 비기를 들고있어 카베로 턴을 종료하는 경우가 많지만, 상대가 과부하나 빙결인 경우 다시 푸리나로 돌아가 턴을 종료하는 것이 좋습니다.
2턴
상대가 드리블을 치지 않은 경우
- 카베의 첫번째 씨앗이 4코스트 이상인 경우 바로 사망하게 되고, 3코스트 씨앗이 발사되는 경우 카베의 E 스킬을 맞고 사망하게 됩니다.
- 카베가 죽더라도 무조건 궁극기를 2턴에 키는 것을 목표로 행동합니다.
- 손패에 바네사 전기가 있고, 주사위 상황이 괜찮다면 바네사 전기 카드를 사용하여 카베가 2턴 3행동을 합니다.
상대가 드리블을 친 경우
- 카베의 첫번째 씨앗이 5코스트가 아니면 초살이 나지 않습니다. 5코스트 행동카드는 2장밖에 없으므로 초살 확률이 많이 내려가게 됩니다.
- 똑같이 카베의 E 스킬 사용 후 궁극기를 사용하여 폭발 스캔 스택을 3으로 만들어 줍니다.
Tip: 카베의 궁극기를 안정적으로 켰다고 바로 카베로 턴을 종료하면 안됩니다. 카베를 능숙하게 상대하는 사람을 만났을 경우 상대방은 카베가 궁극기 사용 후 턴을 종료하는 시점을 노려 카베의 킬각을 잡습니다. 여기서 카베가 죽고 상대가 풀 부착이 된 캐릭터로 푸리나의 소환수를 맞아주지 않으면 더 이상 개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카베의 폭발 스캔을 소모할 수 없게 됩니다.
3턴
- 푸리나+카베의 조합 특성으로 인하여 3턴에는 카베의 씨앗이 연속으로 2번 나가는 상황이 나오게 됩니다.
- 상대방에게 풀 원소가 골고루 부착되어 있다면 야란으로 출전하여 남은 폭발 스캔을 소모합니다.
- 상대방이 개화 반응을 당하지 않으려고 행동한다면, 낙하베기 카드로 기습 개화반응을 하거나, 푸리나의 특성 평타와 궁극기 물부착으로 개화 반응을 유도합니다.
- 카베의 궁극기가 아직 유지되고 있는 상태라 카베로 계속 평타를 쳐서 폭발 스캔을 누적시켜도 되지만, 너무 많은 풀부착을 하지않도록 주의합시다.
행동카드 설명
카베덱의 행동카드들은 얼핏 보면 다 코스트가 높은 카드들로 도배해놓은 것과 같지만 실제로는 변수카드로도 사용할 수 있는 카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(1) 3코스트 활 / 한손검 / 대검 : 마지막 피니셔인 야란과 푸리나에게 장착해 부족한 데미지를 보충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2선으로 나오는 카베가 상대의 핵심 캐릭터를 초살하기 위해 종종 쓰는 무기 카드들입니다.
(2) 바다에 물든 조개 : 회복수단과 방어수단이 전무한 카베가 순간적인 힐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성유물입니다.
(3) 호법의 맹세, 극한의 정신 : 실제로 쓰는 경우는 정말 적지만 특정 덱을 저격하는 용도로 쓰는 변수카드입니다. 호법의 맹세는 에밀리키니치 , 아펩 , 로데이아 감전 덱 등을 상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극한의 정신은 도금현음 밸류축 상대로 사용 가능합니다.
QnA
Q 왜 비기카드를 멀리건에서 넣으면 안되는건가요?
A 카베덱의 메인 딜링은 행동카드의 코스트와 관련이 있어서 0~1코스트인 비기카드를 덱 속에 넣어버리면
발사되는 씨앗의 데미지가 똑같이 0~1로 뜨기 때문입니다. 카베덱이 코스트가 높은 행동카드들로 도배하는 이유입니다.
Q 야란이 아닌 고래를 사용하면 안되는건가요? 고래가 피니셔로 더 강력한 데미지를 넣잖아요.
A 고래를 사용하게 되면 고래의 궁극기 특성 때문에 5.5 버전에 추가된 파도배와 극한의 정신을 사용할 수 없어 2턴 초살의 가능성이 없어지게 됩니다. 또한 고래는 평타에 물 원소가 인챈트되지 않아서 낙하베기 카드로 기습적인 개화 반응이 불가능합니다. 편의성 문제로는 카베덱이 고래를 키우기가 쉽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.
Q 중앙 실험실 유적 카드를 사용해도 되지 않나요?
A 사용하셔도 됩니다. 현재 공략으로 올라간 덱 리스트는 초보자분들이 덱을 사용했을 때 씨앗 데미지 차이가 극심하게 나는 것을 방지하려고 고점은 내리고 저점은 올린 덱 리스트입니다. 중앙 실험실 유적 카드를 사용하는 덱 리스트인 경우 턴마다 2행동이 기본인 카베덱이 3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. 물론 실험실 카드를 쓰지 않아도 바네사 전기 카드를 사용하면 3행동이 가능하여 취향차이로 갈리는 부분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.
Q 카베덱이 상대하기 힘든 덱은 어떤게 있나요?
A 카베덱은 기본적으로 모나를 사용한 빙결확산 덱에 취약한 모습을 보입니다. 단순한 빙결밸류덱은 상대 할 수 있지만 모나가 들어간 빙결덱은 카베가 수메르 비기를 사용해야 그나마 상대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'적왕의 무덤' 카드를 사용하는 덱, 시그윈이 들어간 덱이 카운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.